반려 인구 1500만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삶을 살면서 이전과 달리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과 동물 복지를 더 깊이 이해하면서 반려동물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구입하는 등 반려동물 대한 시장이 확대되면서 그와 관련된 신조어들도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1. 펫코노미
반려동물의 펫과 경제를 결합한 용어로 반려동물과 관련한 시장, 산업을 말하는 신조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출산, 고령화, 1인가구가 증가하고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며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펫코노미는 빠르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펫코노미에는 반려동물을 위한 사료, 용품, 미용 등 전문 훈련소, 펫 택시, 유치원, 장례서비스까지 등장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2. 펫팸족
반려동물의 펫과 가족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정말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을 말하는 신조어이며 반려동물 관련 경제를 일컫는 펫코노미의 성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펫팸족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관련 물품을 구입하는데 비용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반려동물 보험, 출장 돌보미, 호텔, 유치원 등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일부 회사는 반려동물의 분리불안증을 위해 '반려동물 동반 출근'을 허용한 곳도 있다고 합니다.
3. 펫티켓
반려동물의 펫과 예절의 합성어로 공공장소 등에서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지켜야 할 예의를 말하는 신조어입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과 산책할 때 목줄과 입마개, 배변 봉투 등을 지참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배려하고 실천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려인들에게 내 반려동물은 가족처럼 사랑스러운 존재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반려동물은 꺼려질 수 있고 공포를 느낄 수 도 있는 만큼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위해 권장되고 있습니다.
4. 펫로스 증후군
가족처럼 사랑하는 반려동물이 노화 또는 병으로 사망해 상실감, 슬픔, 우울, 불안 등 고통을 겪게 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실제 펫로스 증후군으로 우울증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증상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반려동물의 수명이 사람보다 길지 않음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커뮤티니나 관련 전문가와 슬픔을 공유하며 위로받는 것도 우울감에서 벗어나고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5. 딩펫족
딩크족과 펫의 합성어로 아이를 낳지 않는 대신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사는 맞벌이 부부를 말합니다. 딩펫족은 아이를 낳아 키우는 일반 가정과 크게 다르지 않게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대상이 아이가 아닌 반려동물이라는 점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이를 낳아 키우는 데 많은 비용과 책임감이 상당히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6. 뷰니멀족
본다는 뜻의 뷰와 동물을 뜻하는 애니멀의 합성어로 직접 동물을 키울 수 없는 사람들이 온라인상에서 영상과 게임 등을 통해 반려동물 문화를 즐기는 것을 말합니다.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 드는 시간, 비용, 가족들과의 갈등, 알레르기 등의 이유로 반려동물을 키우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시켜줌으로 반려동물 양육에 대한 대리만족을 느낀다고 합니다. 흔히 랜선 이모, 랜선 집사로 불리는 사람들도 뷰니멀족에 해당됩니다.
7. 펫 셔리
펫과 고급스럽다는 뜻의 럭셔리의 합성어로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 시장에서 고급화된 서비스를 말합니다. 펫 가전, 펫푸드 등을 포함하여 여러 영역에서 반려동물을 위한 소비가 고급화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반려동물을 위해 비용을 아끼지 않고 더 좋은 제품과 다양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8. 펫 부심
자신의 반려동물의 귀여움이나 개인기 등을 많은 사람에게 보여줌으로 반려동물 키우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고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인스타그램, 블로그 등을 통해 보이고 있습니다.
9. 펫 파라치
공공장소에서 반려견 목줄을 채우지 않거나 배설물을 그대로 방치하는 반려견 보호자 등을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2018년 3월 22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세부지침 마련의 부재로 무한 연기되어 아직 시행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가 좋아하는 행동들! (0) | 2022.10.14 |
---|---|
강아지에게 좋은 야채! (0) | 2022.10.12 |
반려동물 관련 직업 (0) | 2022.10.10 |
강아지 필수 영양제 ! (0) | 2022.10.08 |
강아지 사료 제대로 알고 먹이자! (0) | 2022.10.06 |
댓글